맨위로가기

닉슨 대통령의 중국 방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중국 방문은 1972년 2월 21일에 이루어졌으며, 냉전 시대 국제 관계의 중요한 전환점이자 미중 관계 정상화의 시작을 알렸다. 닉슨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처음으로 중국 본토를 방문한 미국 대통령이 되었으며, 헨리 키신저 국가안보보좌관의 비밀 방중을 통해 방문의 토대를 마련했다. 닉슨은 저우언라이 총리와 회담을 갖고 타이완 문제, 인도차이나, 국교 정상화 등 주요 의제를 논의했으며, 상하이 코뮈니케를 발표하여 양국 관계의 기초를 다졌다. 이 방문은 미소 간 데탕트를 촉진하고, 베트남 전쟁 종식에도 기여했으며, 동아시아 정세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2년 국제 관계 - 오키나와 반환
    오키나와 반환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미국의 통치 하에 있던 오키나와현이 1972년 5월 15일 일본에 복귀한 사건으로, 냉전 시대 미국의 군사적 요충지 활용과 오키나와 주민의 복귀 운동, 일본 정부의 외교적 노력이 결합하여 이루어졌으나, 미군 기지 문제와 경제적 격차 등의 과제가 남아있고 복귀에 대한 다양한 평가가 존재한다.
  • 1972년 국제 관계 - 세계 개발 정보의 날
    세계 개발 정보의 날은 유엔이 지정한 국제 기념일로, 개발 문제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과 정보 공유를 촉진하며 정보 통신 기술을 활용한 개발 협력과 젊은 세대의 참여를 장려하는 데 중점을 두고 매년 10월 24일에 기념된다.
  • 1972년 중국 - 상하이 코뮈니케
    1972년 미국과 중국이 발표한 상하이 코뮈니케는 미중 관계 정상화의 전환점으로, "하나의 중국" 정책 인정, 무역 확대, 평화 공존 원칙 확인 등의 내용을 담아 냉전 구도에 영향을 미치고 미중 관계 개선에 기여했으나, 대만 문제에 대한 명확한 합의는 이루지 못했다.
  • 1972년 중국 - 중일공동성명
    중일공동성명은 1972년 일본과 중화인민공화국이 국교 정상화를 위해 발표한 성명으로, 일본은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의 유일 합법 정부로 인정하고 '하나의 중국' 원칙을 수용했으며, 중국은 일본에 대한 전쟁 배상 청구를 포기하는 등 평화 우호 관계를 수립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방문 외교 - 국빈 방문
    국빈 방문은 한 국가의 원수가 다른 국가를 공식적으로 방문하여 양국 간의 우호 증진과 관계 발전을 목표로 하는 외교 행사이다.
  • 방문 외교 - 2019년 북러정상회담
    2019년 4월 25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린 북러정상회담은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푸틴 대통령 간의 회담으로,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북한이 러시아와의 관계 강화를 통해 비핵화 협상의 돌파구를 마련하고 러시아가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 및 미국의 역할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계기가 되었다.
닉슨 대통령의 중국 방문
지도 정보
1972년 리처드 닉슨의 중국 방문
주요 목적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 정상화
미국 대통령리처드 닉슨
중국 주석마오쩌둥
중국 총리저우언라이
방문 시기1972년 2월 21일 ~ 2월 28일
주요 회담 장소베이징
방문 결과양국 간의 관계 개선을 위한 상호 협력
상하이 공동성명 발표
상하이 공동성명미국중국이 냉전 시대의 중요한 문제를 논의하고 향후 관계 개선을 위한 공동 성명
주요 인물
미국 대표단리처드 닉슨 (대통령)
헨리 키신저 (국무장관)
중국 대표단마오쩌둥 (주석)
저우언라이 (총리)
역사적 배경
배경냉전 시기 미국과 중국의 적대적 관계
중소 분쟁으로 인한 중국과 소련의 관계 악화
미국의 목표소련에 대한 견제
중국과의 관계 정상화
중국의 목표국제 사회에서 지위 강화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통한 안보 확보
방문의 중요성
의미미국과 중국의 관계 정상화의 첫걸음
냉전 시대의 중요한 변화
영향양국 간의 경제 및 문화 교류 확대
중국의 국제 사회 참여 증대
이후 외교 정책에 큰 영향
기타 정보
방문 관련 자료밀러 센터 - 리처드 닉슨: 외교 정책
히스토리 채널 - 1971년 7월 15일
브루킹스 연구소 - 중국과 미국: 닉슨의 40년 유산
이미지
리처드 닉슨 미국 대통령과 저우언라이 중국 총리가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에서 악수하는 모습
리처드 닉슨 미국 대통령이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에서 저우언라이 중국 총리와 악수하고 있다.

2. 역사적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의 관계는 악화되었고, 소련은 동유럽 여러 지역에 공산주의 동맹을 구축했다. 중국 내전에서 중국 공산당이 승리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미국 지배 계층은 공산주의 세력이 학교나 노동조합을 장악할 수 있다는 우려를 갖게 되었다.[119]

1956년 중소 분열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은 소련의 힘을 견제하기 위해 외부 동맹국이 필요하다고 인식했다.[118] 마오쩌둥은 소련이 미국에 너무 우호적이라고 생각했지만, 결국 소련을 중국에 더 큰 위협으로 간주하게 되었다.[118]

1969년 중소 국경 분쟁으로 중소 관계가 악화되자, 마오쩌둥중국 인민해방군 주요 인사들에게 전략적 과제를 분석하도록 지시했다.[51] 이들은 소련의 위협과 미국의 태도를 고려하여 미국과의 대화 재개를 제안했다.[56]

1970년부터 미국과 중국은 바르샤바에서의 대사급 회담과 파키스탄, 루마니아를 통한 외교 채널을 통해 비밀리에 접촉을 시작했다.[64] 1971년 미국의 "핑퐁 외교(탁구 외교)"는 양국 관계 개선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기여했다.[68]

1971년 7월, 헨리 키신저 국가안보보좌관파키스탄 방문 중 비밀리에 베이징을 방문하여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중국 방문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120][121]

2. 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과 동아시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은 미국을 중심으로 한 자본주의 진영과 소비에트 연방(소련)을 중심으로 한 공산주의 진영으로 나뉘어 냉전을 겪었다. 아시아에서도 중국 대륙, 한반도, 베트남 등에서 이념 대립으로 인해 분단 국가가 발생했다. 중국에서는 국공 내전에서 승리한 중국 공산당이 1949년 10월 1일 베이징을 수도로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했고, 패배한 중국 국민당은 타이완으로 이동하여 중화민국을 유지했다.[43]

1950년 6월 25일 발발한 한국 전쟁에서 대한민국은 미국을 비롯한 유엔군의 지원을 받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및 중국인민지원군과 대립했다. 이 전쟁은 미국과 중국 간의 직접적인 군사 충돌로 이어져 양국 관계를 더욱 악화시켰다.[43] 미국은 중화민국(타이완)을 중국의 합법 정부로 승인하고, 중화인민공화국과는 적대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2. 2. 중소 분쟁과 중국의 독자 노선

1956년 중소 분열이 시작될 때부터 중화인민공화국은 소비에트 연방의 힘을 견제하기 위해 외부 동맹국이 필요하다고 인식했다.[4] 분열의 동기는 부분적으로는 소련이 미국에 너무 호의적이라는 마오쩌둥의 견해에서 비롯되었지만, 결국 그는 소련을 중화인민공화국의 입장에 더 큰 위협으로 간주하게 되었다.[118]

중국과 소련은 모두 공산주의를 지향하는 국가였으며, 소련은 공산주의 진영의 맹주였고, 후발 주자인 중국도 막대한 희생을 치르면서 제2차 세계 대전을 승리로 이끌었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그러나 초기 단계에서도 양국 관계가 항상 원만했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었다. 요시프 스탈린이 소련 지도자였던 시대에는 두 나라는 강력한 동맹 관계(1950년 중소우호동맹상호원조조약 체결)를 맺은 것으로 서방에서 인식되었고, 미일 안보 체제도 중소 동맹을 전제로 성립되어 있었다. 그러나 1953년 스탈린 사후 지도자가 된 니키타 흐루시초프는 1956년 스탈린 격하를 단행하여 중국 측의 불만을 샀다.[43] 더욱이 평화공존 외교를 전개한 시기부터 중소 간에 외교 및 공산주의 운동 방침을 둘러싼 불협화음이 발생하여, 결국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중소 간 심각한 충돌이 발생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은 소비에트 연방과 결별하여 독자 노선을 걷게 되었다.

1969년 3월 중소 국경 부근 우수리 강 중앙의 섬인 진보섬(다만스키 섬)에서 국경선을 둘러싼 무력 충돌이 발생하여 중소 대립이 전쟁 상태로 돌입할 가능성이 우려될 정도로 긴장된 상황이 조성되었다. 이때 중국은 미국을 제국주의로, 소련을 수정주의로 비판했지만, 전년도 체코의 자유화 움직임을 소련이 전차로 제압한 이후 주요 적은 소련이라고 판단하게 되었다.[45]

2. 3. 미국의 대중 정책 재검토

닉슨이 에어포스 1을 타고 중국으로 향하는 모습.


소련중국과의 관계 개선은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가장 성공적인 외교적 업적으로 자주 언급된다.[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은 미국과 소련 간의 관계 악화, 소련이 동유럽 대부분 지역에 공산주의 동맹국들을 결속시키고, 중국 내전에서 중국 공산당 세력이 승리할 가능성을 목격했다. 많은 미국인들은 공산주의자들이 학교나 노동조합을 지배할지도 모른다는 우려를 했다.[5]

1956년 중소 분쟁이 시작된 이후 중국 지도부는 소련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외부 동맹국을 찾았고, 미국은 소련에 대한 영향력을 얻고자 했다. 베트남 전쟁을 해결하는 것은 특히 중요한 요소였다. 국가안보회의 직원(그리고 후일 주중 미국 대사) 윈스턴 로드는 소련과 중국 모두와 유연하게 대처함으로써 미국은 양국에 대한 관계 우선순위를 새롭게 정립하여 북베트남에 대한 지원을 줄이도록 압력을 가하고자 했다고 지적했다.[6]

닉슨은 1940년대 후반과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부통령 시절 강력한 반공주의자로 명성을 얻었지만, 1972년 재임 중 중국 본토를 방문한 최초의 미국 대통령이 되었다.[7]

2. 4. 중국 내부의 움직임

1969년 마오쩌둥중국 인민해방군 주요 인사들에게 중국의 전략적 과제를 분석하도록 지시했다.[51] 이들은 소련의 위협과 미국의 태도를 고려하여 미국과의 대화 재개를 제안했다.[56]

마오쩌둥문화대혁명으로 실각했던 천이(陳毅), 서향전(徐向前), 엽검영(葉劍英), 섭용진(聶榮臻) 등 “사원수(四元帥)[50]에게 전략 과제 분석을 다시 지시했다. 이들은 보고서에서 소련이 즉각 공격하지 않는 이유로 국내 지지 기반 약화, 병참 문제, 미국의 태도에 대한 의구심을 들며, “두 마리 호랑이가 싸우는 모습을 산꼭대기에 앉아서 바라본다”는 중국 속담을 인용했다.[53]

1969년 5월, 마오쩌둥은 “사원수”에게 추가 검토를 지시했고, 6-7월 6차례 회담에서 “전쟁 상황 초보 평가”를, 7월 말-9월 중순 10차례 회담에서 “당면 상황 견해” 보고서를 저우언라이에게 제출했다.[45] “사원수”는 “중국이 소련 공격 시 미국 카드 사용 여부”에 집중했고, 천이제2차 세계 대전 직전 아돌프 히틀러스탈린의 예, 엽검영은 위촉촉 삼국시대 제갈량의 예를 들며 전략적 직관을 얻기 위해 선례 조사를 권했다.[54] 이들은 “소련의 중국 침략 전쟁 개시 여부는 미국의 태도에 달렸다”[55]고 하며, 중-미-소 3대 강국 관계에서 중소 모순이 미중 모순보다 크고, 미소 모순은 중소 모순보다 크며, 반중 전쟁 가능성은 적지만 미중이 소련을 견제하는 것[56]이 중요하며, 미국과 대사급 회담 재개를 제안했다. 천이는 대사급 회담을 각료급 회담으로 격상하고, 타이완 반환 문제는 전제 조건으로 하지 말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2. 5. 미국의 전략 변화

문화대혁명 이후 1967년 3월부터 중단되었던 미국과 중화인민공화국 간의 대사급 회담이 1970년 1월 20일 바르샤바에서 재개되면서 양국 관계에 약간의 진전을 보였다.[61] 중국 측은 "양국의 긴장을 완화하고 관계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다른 채널을 통한 회담을 검토할 준비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신호는 현장의 미국 측 협상 담당자들에게는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다. 1970년 2월 20일 "제136차 회담" 이후, 5월 20일에 예정되었던 회담이 직전 미국의 캄보디아 침공으로 취소되면서 외교 관계자들은 회담이 실패로 끝났다고 보고했다.[61] 이 시기는 3월에 캄보디아에서 노로돔 시하누크 국가원수가 축출되고, 미국의 지원을 받은 론 놀 정권이 실권을 장악한 후, 5월에 남베트남이 캄보디아에 침공하여 호치민 루트를 공격하면서 중국과의 대화가 동결된 상태였다.

2. 6. 비밀 접촉과 외교 채널

1970년부터 미국과 중국은 바르샤바에서의 대사급 회담을 통해 비밀리에 접촉을 시작했다.[64] 파키스탄루마니아를 통한 외교 채널도 활용되어 양국 간 메시지 교환이 이루어졌다.[123][63][64] 1971년, 미국의 "핑퐁 외교(탁구 외교)"는 양국 관계 개선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기여했다.[68]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 1969년 7월과 8월, 리처드 닉슨 미국 대통령은 파키스탄야히아 칸 대통령과 루마니아니콜라에 차우셰스쿠 대통령에게 중국 지도부와의 교류를 추진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해 줄 것을 요청했다.[63]
  • 1970년 12월 8일, 파키스탄 대사가 저우언라이의 서한을 백악관에 전달했다. 서한에는 파키스탄을 통해 메시지를 받았다는 사실과 특사 파견을 고려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또한 마오쩌둥린뱌오의 승인을 받았으며, 대만 철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특사를 베이징으로 초청한다는 내용도 포함되었다.[64]
  • 한 달 후, 루마니아에서도 같은 메시지가 도착했다. 헨리 키신저저우언라이가 만일의 경우를 대비하여 파키스탄과 루마니아 두 경로를 모두 사용했다고 이해했다. 루마니아를 통한 서한에는 닉슨 대통령을 초청하는 내용이 있었지만, 미국은 루마니아 경로로 특사 파견을 승낙하는 답신(대통령 방문은 언급하지 않음)을 보냈다.[64]
  • 1971년 2월, 미국은 외교 문서에서 처음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이라는 국호를 사용하고, 3월에는 무역 및 인적 교류 제한을 완화하는 등 관계 개선을 위한 조치를 취했다.[67]
  • 1971년 3월, 일본 나고야에서 열리는 세계탁구선수권대회에 중화인민공화국이 선수단을 파견하기로 결정했다. 미국 탁구 선수단의 자발적인 중화인민공화국 방문 제안을 마오쩌둥이 최종 수락하면서, 이른바 "핑퐁 외교(탁구 외교)"가 전개되었다.[68]
  • 1971년 4월 21일, 저우언라이가 특사 수용에 동의한다는 내용의 공식 친서가 파키스탄을 경유하여 백악관에 도착했다. 이 친서에는 관계 개선의 조건으로 대만에서의 미군 철수만 언급되었고, 대만 반환은 언급되지 않았다.[69]
  • 1971년 7월, 헨리 키신저 국가안보보좌관파키스탄 방문 중 비밀리에 베이징을 방문하여 닉슨의 중국 방문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이 회의는 파키스탄이 중국과의 강력한 외교 채널을 통해 주선하고 촉진했다.[120][121]

2. 7. 헨리 키신저의 비밀 방중

1971년 7월, 닉슨 대통령의 국가안보보좌관 헨리 키신저파키스탄을 방문하던 중 비밀리에 베이징을 방문하여 닉슨의 중국 방문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 이 회의는 파키스탄이 중국과의 강력한 외교 채널을 통해 주선하고 촉진했다.[120][121] 백악관 회의 녹취록과 기밀 해제 문서에 따르면 닉슨은 백악관에 온 첫날부터 베이징과의 소통 채널을 열기 위해 노력하기 시작했다.[122]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닉슨 대통령은 중국 공산당의 동맹국인 루마니아파키스탄을 통해 신중하게 조정된 일련의 조치를 취했다.[123]

7월 15일 닉슨은 중국을 방문할 것이라고 발표하여 대중을 놀라게 했다.[17]

3월, 다음 달 일본 나고야에서 열리는 세계탁구선수권대회에 중화인민공화국이 선수를 파견할지 여부를 두고 중국 내에서 논의가 있었다. 저우언라이는 참가하기로 결론을 내렸고, 문화대혁명 이후 오랜만에 중국 선수단이 대회에 출전했다. 그때 미국 탁구 선수단이 자발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을 방문하고 싶다는 제안을 했고, 중화인민공화국 대표단도 본국에 연락하여 결론을 기다렸다. 외교부는 소극적인 자세로 거절하는 방향으로 검토했지만, 마오쩌둥이 최종적으로 수락하기로 결정하여, 미국 탁구 선수단을 대회 후 중국 측이 초청하는 소위 "핑퐁 외교"가 전개되었다. 이것이 미국 측 메시지에 대한 답변이었다.[68] 4월 21일, 파키스탄을 경유하여 백악관에 저우언라이가 특사 수용에 동의한다는 내용의 공식 친서가 도착했다. 그 특사는 키신저 보좌관이나 로저스 국무장관, 또는 대통령 본인을 염두에 둔 내용이었으며, 관계 개선의 조건으로는 타이완에서의 미군 철수만 언급되었고 타이완 반환에는 언급되지 않았다.[69]

3. 닉슨 대통령의 방중 (1972년)

1972년 2월 17일, 닉슨 대통령과 그의 아내, 측근은 하와이 오아후의 카네오헤 해병대 비행장에서 하룻밤을 보내고 백악관을 떠났다. 다음날 괌을 거쳐 2월 21일 오전에 상하이에 도착한 후, 베이징으로 향했다.[124]

당시 미국 정부 내에서도 닉슨의 방중 계획이 알려지고 있었고, 헨리 키신저는 기밀 유지에 어려움을 겪었다. 바르샤바에서의 회담이 재개되고 비밀 협상이 진행될수록, 마오쩌둥저우언라이는 당내 극좌파(친소파)와 반미파를 설득해야 했고, 닉슨과 키신저는 친소파, 친대만파, 우파의 반대를 고려해야 했다.[70]

5월 10일, 저우언라이는 닉슨의 초청을 수락하고, 사전 준비를 위해 특사(키신저 보좌관)를 비밀리에 파견할 것을 요청했다. 저우언라이는 마오쩌둥과 협력하여 5월 26일 당 정치국 회의를 열고, 「중미 회담에 관한 보고」를 기초하여 29일에 채택, 마오쩌둥과 린뱌오에게 보고하여 승인을 받았다.[71] 이후 5월 29일에 보낸 친서에서 "마오쩌둥을 대표하여 공식적으로 닉슨의 중국 방문을 초청하며 키신저가 비밀리에 중국을 방문하여 필요한 준비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환영한다"[72]는 내용의 회신이 6월 2일에 도착했다. 키신저는 이 연락에서 린뱌오의 이름이 사라진 것에 거의 주목하지 않았다.[73] 1971년 6월 3일 공식 행사 이후, 린뱌오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74]

3. 1. 전격 발표와 방중

1971년 7월 15일, 닉슨 대통령은 헨리 키신저 미국 국가안보보좌관의 비밀 방중 사실과 함께 자신의 중국 방문 계획을 발표하여 세계를 놀라게 했다.[17] 닉슨 대통령의 방중은 파키스탄이 중국과의 강력한 외교 채널을 통해 주선하고 촉진했다.[11][12]



1972년 2월 21일, 닉슨 대통령은 베이징을 방문하여 저우언라이 총리의 영접[102]을 받고 굳은 악수를 나누었다. 이는 닉슨 대통령이 1954년 제네바 회담에서 존 포스터 덜레스 국무장관이 저우언라이 총리의 악수를 거절한 것에 대한 외교적 무례를 바로잡기 위한 행동이었다.[103]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된 이후 미국 대통령의 중국 본토 방문은 이것이 처음이었다.

연회에서 연설하는 닉슨 대통령과 저우언라이 총리


만찬회에서 닉슨 대통령을 환대하는 저우언라이 총리


닉슨 대통령과 키신저 보좌관은 곧바로 중난하이에서 마오쩌둥 중국 공산당 주석과 회담을 가졌다.[104] 마오쩌둥은 "우리의 공통된 옛 친구, 장제스 총통은 이것을 인정하지 않을 것입니다"라며 닉슨을 환영했다.[105] 첫 회담은 첫날 오후 6시부터 전체 회의로 약 1시간 동안 열린 후 만찬회가 열렸고, 이 만찬회는 전 세계에 생중계되었다.[106]

3. 2. 주요 회담 내용

1972년 2월 21일, 닉슨 대통령은 저우언라이 총리와 여러 차례 회담을 가졌다.[104] 회담에서는 타이완 문제, 인도차이나 문제, 양국 관계 정상화, 소련, 일본 및 미일 동맹, 한반도, 인도-파키스탄 문제 등 다양한 의제를 다루었다.[107]

타이완 문제에 대해 미국은 다음의 "5원칙"을 제시했다.

번호내용
1중화인민공화국이 유일한 합법 정부라는 점을 인정한다.
2타이완의 법적 지위는 미정이라는 점을 인정한다.
3미국은 타이완 독립운동을 지지하지 않는다.
4미국은 타이완 해협 문제가 중국인에 의해 평화적으로 해결되는 것을 지지한다.
5미국은 타이완에서 단계적으로 미군을 철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대해 중국은 미국-중화민국 상호 방위 조약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취했다.[87]

3. 3. 상하이 코뮈니케 (공동 성명)

1972년 2월 28일, 상하이에서 미국중국은 미중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양국은 그동안의 적대 관계를 청산하고, 국교 정상화를 위해 노력할 것을 천명했다.[27]

상하이 코뮈니케중미 양국 관계의 기초 문서로, 대만의 정치적 지위와 같은 "관계 정상화를 방해하는 중대한 문제"[26]를 일시적으로 보류하고 무역 및 기타 접촉을 개방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그러나 미국은 1979년 중국과의 완전한 외교 관계를 수립할 때까지 대만의 중화민국 정부와 공식 관계를 유지했다.

타이완 문제는 상하이 공동성명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였다. 양측은 일치된 내용을 제시하는 대신, 이 문제에 대한 각자의 의견을 교환했다는 형식으로 작성하였다. 중국은 원칙적 입장을 밝혔고, 미국은 "대만 해협 양안의 모든 중국인들이 중국은 오직 하나이며, 대만은 중국의 일부라는 것을 '인식했다'. ...이 입장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 ...대만에서 모든 무장력과 군사 시설을 철거하는 최종 목표를 '확인한다'. ...점차 '감소시켜 나갈' 것이다."라고 기록했다.[108]

닉슨은 저우언라이에게 "대만에 관한 5원칙"을 제시하여,

# 중화인민공화국을 유일한 합법 정부로 인정하고 대만의 지위는 미정임을 앞으로는 밝히지 않는다.

# 대만 독립을 지지하지 않는다.

# 일본이 대만에 진출하지 못하도록 한다.

# 대만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고 대만의 중국 본토로의 무력 탈환을 지지하지 않는다.

#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 정상화를 추구한다.

라고 하며, 대만에서 단계적으로 철군할 것을 약속했다.

중국 측은 미·대 방위 조약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 입장을 취했다. 닉슨은 회담에서 군대 철수는 "나의 계획에 있다"라고 하여 언젠가는 철수시킬 것을 분명히 했기 때문에 그 이상은 요구하지 않았다.[109] 중국 측은 미·대 조약의 파기를 공동 성명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으로 양보하고, 미군의 완전 철수를 최종 목표로 한다는 확답을 닉슨으로부터 얻어냄으로써 타협했다.[109]

4. 영향과 결과

닉슨의 중국 방문은 여러 중요한 영향과 결과를 가져왔다.

우선, 중국은 타이완 문제의 평화적 해결에 동의했다.[127] 미국과 중국은 대만의 정치적 지위에 관한 문제를 잠시 보류하고, 무역 등의 교류를 시작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미국은 1979년 중국과 정식 수교를 맺기 전까지 대만의 중화민국 정부와 공식 관계를 유지했다.

이 방문은 당시 서방 세계, 특히 일본에 큰 충격을 주었다. 일본은 중화민국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었고, 미국이 일본에 사전 통보 없이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추진했기 때문이다.[96] 당시 일본의 우시바 노부히코 주미 대사는 "조해의 악몽이 현실이 되었다"며 탄식했다고 한다.[97][98] 월터 알렉시스 존슨 미 국무차관은 훗날 미일 양국의 신뢰 관계와 국익을 손상시켰다며 헨리 키신저를 비판하기도 했다. 닉슨 방중 이후, 다나카 가쿠에이 수상이 1972년 9월 베이징을 방문하여 중일 국교 정상화를 이루게 된다.

닉슨과 그의 측근들은 미국의 텔레비전 시청자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신중하게 여행을 계획했다. 언론의 보도는 매우 긍정적이었으며, 일부 특파원들은 이 여행을 역사상 가장 중요한 정상회담이라고 평가했다.[128]

4. 1. 국제 관계의 변화

리처드 닉슨과 주은래가 인민대회당에서 만찬 중 대화를 나누는 모습


1972년 2월 27일, 미국과 중국은 상하이 공동성명을 발표하여 외교 관계 정상화를 위해 노력하고 대만 문제에 대한 이견을 인정했다.[26] 이를 통해 양국은 무역 등 교류를 시작할 수 있었지만, 미국은 1979년 정식 외교 관계 수립 전까지 대만의 중화민국 정부와 공식 관계를 유지했다.

상하이에서 닉슨은 "이번 주는 세상을 바꾼 주였습니다... 1만 6천 마일과 22년간의 적대 관계라는 깊은 골을 메우는 다리를 놓는 것... 오늘 우리는 그 다리를 놓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라고 말했다.[27]

닉슨 방중 이후,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서독 등 미국의 여러 동맹국들이 중국과의 외교 관계를 위해 대만과 단교했다.[28] 닉슨의 방중은 미국 텔레비전 시청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도록 계획되었고, 언론 보도는 매우 긍정적이었다. 뉴욕 타임스의 맥스 프랭켈은 이 사건 보도로 퓰리처상 국제 보도 부문을 수상했다.[29]

1972년 후반 워터게이트 사건의 여파로 닉슨은 중국과의 추가 외교 노력을 덜 중요하게 생각하게 되었다.[30] 이로 인해 1973년 11월 헨리 키신저와 저우언라이 간 회담에서 논의된 워싱턴 D.C.와 베이징 간 핫라인 설치 논의가 연기되었고,[31] 베이징-워싱턴 핫라인은 2007년에 개설되었다.

Nixon in China. 닉슨 대통령 도서관 및 박물관의 영화.


1971년 가을, 베트남 총리 팜반동은 마오쩌둥에게 닉슨 방중 취소를 요청했으나 실패했다.[32] 미중 관계 개선은 베트남 지도부에 의해 중국-베트남 관계 배신으로 해석되어 긴장을 유발했다.[32]

이 방문은 존 애덤스의 1987년 오페라 「중국에서의 닉슨」과 PBS 다큐멘터리 영화 「미국 경험: 닉슨의 중국 게임」의 소재가 되었다.

닉슨의 방중은 1972년 9월 일본-중국 공동성명 발표에 기여했다.[33][34] 마오쩌둥은 일본의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와의 논의에서 "당신이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을 때 나는 당신에게 투표했습니다."라고 말하며, 일본 공산당에는 관심이 없고 다나카 가쿠에이에게도 "투표했다"고 말했다.[35]

닉슨의 방중은 미국의 인플레이션 억제에 영향을 미치는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개방에 기여했다.[36]

방중 이후 미중 관계 개선 전망이 좋아지면서, 중국의 험준한 내륙 지역에서 기본 및 중공업 개발을 위한 제3전선 운동에 대한 집중도 점차 감소했다.[37] 미국과 중국 간의 관계 개선은 소련 침공에 대한 우려를 감소시켰기 때문이다.[37][38]

1979년 1월부터 2월까지 중국 최고 지도자 덩샤오핑이 미국을 공식 방문했다.[39] 덩샤오핑은 당시 대통령 지미 카터와 전 대통령 닉슨을 백악관 만찬에서 만났다.[40][41]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미국 대통령의 중국 본토 방문은 이것이 처음이었다. 닉슨 대통령은 중난하이에서 마오쩌둥 중국 공산당 주석과 회담을 가졌고,[104] 마오쩌둥은 "우리의 공통된 옛 친구, 장제스 총통은 이것을 인정하지 않을 것입니다"라며 환영했다.[105]

저우언라이 총리와 5차례 회담을 가졌고, 주요 의제는 대만 문제, 인도차이나(베트남 포함), 국교 정상화, 소련, 일본 및 미일 동맹, 한반도, 인도-파키스탄 문제 등이었다.

닉슨의 중국 방문은 한국 전쟁 이후 20여 년간 지속된 미중 냉전에 종지부를 찍은 역사적인 회담이 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이 아시아 국제 정치에서 주요 행위자로 참여하는 것을 미국이 인정한 것은 동아시아의 다극화 현실을 받아들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닉슨 행정부는 "전략적 삼각형"을 구축하여 "삼각 외교"라고 불리는 닉슨 행정부의 대중·소 등거리 외교를 전개함으로써 미국의 이익을 얻는 관계 구축을 시도했다.[110]

리처드 닉슨 대통령과 함께 베이징을 방문한 팻 닉슨(대통령 부인).


미중 화해는 미소 관계 발전을 촉진했다. 방중 3개월 후인 1972년 5월, 닉슨은 대통령으로서 처음으로 소련을 방문하여[111] SALT 1(제1차 전략무기제한협정)과 ABM(탄도탄 요격 미사일) 조약을 체결하여 미소 군사 관계 안정화를 도모했다. 또한 미소 간 데탕트(긴장 완화)가 진전되었다.[112] 미국이 우려했던 북베트남과의 협상은 1973년 1월 평화 협정이 체결되고 3월 미군의 완전 철수로 마무리되어, 미국에게 있어 베트남 전쟁은 종식되었다.

닉슨의 중국 방문 1년 후, 미국에게 유리한 새로운 국제 환경이 조성되어 있었다. 중국과 소련 양국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구축함으로써, 중국과 소련에게 미국이 필수적인 존재가 되는 삼극 구조를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다.[113]

4. 2. 동아시아 정세 변화

닉슨의 방중은 동아시아 정세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일본: 닉슨의 방중 발표에 큰 충격을 받았다. 당시 일본은 중화민국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었고, 미국이 일본에 사전 통보 없이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 개선을 추진했기 때문이다.[93][96] 월터 알렉시스 존슨 미 국무차관은 후에 미일 양국의 신뢰 관계와 국익을 손상시켰다며 키신저를 비판했다. 결국, 닉슨 방중 7개월 후인 1972년 9월, 다나카 가쿠에이 수상이 베이징을 방문하여 중일 국교 정상화를 이루게 된다.[33][34]
  • 대한민국: 북한과의 관계, 그리고 미국과의 동맹에 있어서 새로운 전략적 고민을 하게 되었다.
  • 중화민국(타이완): 미국의 정책 변화에 따라 국제적 고립이 심화되었다. 미국은 상하이 공동성명을 통해 '대만 해협 양안의 모든 중국인들이 중국은 오직 하나이며, 대만은 중국의 일부라는 것을 인식했다'는 입장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고, 대만에서 모든 무장력과 군사 시설을 철거하는 최종 목표를 확인했다.[108] 닉슨은 저우언라이에게 중화인민공화국을 유일한 합법 정부로 인정하고 대만 독립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등의 "대만에 관한 5원칙"을 제시하며 단계적 철군을 약속했다.[109]

4. 3. 중화인민공화국과 베트남의 관계

닉슨의 방중 이후, 북베트남은 미국의 대규모 무력 행사를 중국이 동의한 것으로 해석하여 "자국에 대한 중국의 배신 행위"로 받아들였다.[115]

1973년 미국과 평화 협정을 체결한 후, 1974년 1월 중국 인민해방군은 남북 베트남 간 전선에서 멀리 떨어진 시사군도에 주둔하던 남베트남군을 선전포고 없이 기습 공격하여(시사군도 해전) 석유 등 지하 자원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던 시사군도 일대를 점령했다.

1975년 남북 베트남이 통일된 후, 이웃 국가 캄보디아에서는 중국 공산당의 지지를 얻은 크메르 루주공포 정치를 펼쳤고, 민주 캄푸치아의 독재자 폴 포트는 베트남 영토 내에서 바툭 촌 학살을 자행하며 베트남에 적대적이었다. 1978년 베트남은 소련과 소베트 우호 협력 조약을 체결하여 소련에 접근했고, 캄보디아-베트남 전쟁에서 폴 포트 정권이 타도된 것에 따른 1979년 중월 전쟁으로 중국과 베트남이 대립하게 되었다. 1984년 중월 국경 분쟁, 1988년 스프래틀리 군도 해전이 발생했고, 1989년 베트남이 캄보디아에서 철수할 때까지 미국과 중국,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은 "민주 캄푸치아 연합 정부(en)"를 지원하여 캄보디아 내전이 계속되었다.

오늘날 베트남은 과거 적국이었던 미국과 관계 개선을 추진하고 있으며, 동맹국이었던 중국과는 영유권 문제로 대립하고 있다.

4. 4. 미국의 대만(중화민국) 관계

1979년 미국은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면서 중화민국(대만)과의 공식 관계를 단절했다. 하지만 미국 의회에서 대만관계법을 제정하여 비공식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중화민국에 대한 군사적 지원을 계속하고 있다. 이는 중국과의 갈등 요인 중 하나로 남아있다.[109]

미국은 미중 공동 성명을 통해 장제스(蔣介石)가 이끄는 중화민국 정부를 중국 대륙(中国大陸)을 통치하는 정통 정부로 인정하지 않고, 저우언라이(周恩来)에게 제시한 “대만에 관한 5원칙”은 다음과 같다.[108]

번호내용
1중화인민공화국을 유일한 합법 정부로 인정하고 대만의 지위는 미정임을 앞으로는 밝히지 않는다.
2대만 독립을 지지하지 않는다.
3일본이 대만에 진출하지 못하도록 한다.
4대만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고 대만의 중국 본토로의 무력 탈환을 지지하지 않는다.
5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 정상화를 추구한다.



1996년 중화민국 총통선거를 계기로 중국인민해방군이 군사훈련을 강행하고 미사일을 발사하는 등의 위협 행위를 했을 때, 미국군은 타이완 해협에 항공모함 기동 함대를 파견했고, 워런 크리스토퍼 국무장관은 “미국은 필요하다면 대만을 돕기 위해 대만에 접근할 것”이라고 중화인민공화국에 경고했다.

참조

[1] 웹사이트 Richard Nixon: Foreign Affairs https://millercenter[...] 2016-10-04
[2] 웹사이트 This Day in History, July 15, 1971 https://www.history.[...] A&E Television Networks 2020-07-14
[3] 웹사이트 China and the United States: Nixon's Legacy after 40 Years https://www.brooking[...] 2012-02-23
[4] 서적 Nixon Reconsidered BasicBooks 1994
[5] 간행물 Labor's Communists Come Under Fire https://books.google[...] Time 1947-03-24
[6] 웹사이트 Nixon Goes to China http://adst.org/2013[...] 1998-04-28
[7] 서적 Nixon, the Triumph of a Politician 1962–1972 Simon and Schuster 1989
[8] 웹사이트 Ulysses S. Grant: International Arbitrator (U.S. National Park Service) https://www.nps.gov/[...]
[9] 웹사이트 Years of Adventure 1874-1914 https://hoover.archi[...] 2017-11-01
[10] 웹사이트 How Eisenhower Saved Taiwan https://thediplomat.[...]
[11] 웹사이트 Negotiating U.S.-Chinese Rapprochement https://nsarchive2.g[...]
[12] 웹사이트 CHINA POWER Kissinger's Visit, 40 Years On https://thediplomat.[...]
[13] 웹사이트 Getting to Beijing: Henry Kissinger's Secret 1971 Trip http://china.usc.edu[...]
[14] 웹사이트 The Week that Changed the World https://www.nixonfou[...] 2017-01-18
[15] 웹사이트 The 1971 war: When Richard Nixon and Henry Kissinger failed to 'scare off' the Indians https://www.firstpos[...] 2021-12-10
[16] 뉴스 Analysis {{!}} The Bengali blood on Henry Kissinger's hands https://www.washingt[...] 2023-12-01
[17] 서적 Intelligence Policy and National Security Palgrave Macmillan UK 1981
[18] 웹사이트 Nixon Goes to China http://adst.org/2013[...] 1998-04-28
[19] 웹사이트 Nixon In China Itinerary, Feb. 17 -28, 1972 https://china.usc.ed[...]
[20] 서적 Years of Upheaval
[21] 서적 The Memoirs of Richard Nixon Warner Books
[22] 서적 The Road to War: Presidential Commitments Honored and Betrayed https://books.google[...]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13-05-09
[23] 뉴스 Nixon Asserts That Western Rightists Pleased Mao https://www.nytimes.[...] 1978-05-02
[24] 뉴스 Sculpture Reported Given to Mao https://www.nytimes.[...] 1972-02-25
[25] 문서 H. R. Haldeman Diaries Collection, January 18, 1969 – April 30, 1973 https://www.nixonlib[...]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1972-02-28
[26] 웹사이트 Nixon's China's Visit and "Sino-U.S. Joint Communiqué" https://www.fmprc.go[...]
[27] 웹사이트 1972 Election - 1972 Year in Review - Audio - UPI.com https://www.upi.com/[...]
[28] 서적 Mao Zedong and China in the twentieth-century world : a concise history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10
[29] 웹사이트 Assignment: China – The Week that Changed the World http://china.usc.edu[...]
[30] 웹사이트 Shanghai Communiqué Issued https://www.pbs.org/[...]
[31] 웹사이트 Memorandum of Conversation between Chou En-lai and Henry Kissinger https://irp.fas.org/[...] 1973-11-14
[32] 서적 The Art of State Persuasion: China's Strategic Use of Media in Interstate Disputes Oxford University Press
[33] 웹사이트 EXCERPT OF MAO ZEDONG'S CONVERSATION WITH JAPANESE PRIME MINISTER KAKUEI TANAKA https://digitalarchi[...]
[34] 웹사이트 Michael Schaller: Working Paper No. 2 https://nsarchive2.g[...]
[35] 웹사이트 Mao Zedong, 'Settlement of the Questions of Restor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Japan Still Depends on the Government of the Liberal Democratic Party' https://digitalarchi[...]
[36] 웹사이트 How Nixon's China Visit affected U.S. Inflation for 50 Years https://inflationdat[...]
[37] 서적 Mao's Third Front: The Militarization of Cold War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38] 서적 Mao and Markets: The Communist Roots of Chinese Enterprise Yale University Press 2022
[39] 웹사이트 The Nixon-Deng Comparison https://origins.osu.[...] 1997-04-00
[40] 웹사이트 China State Dinners: President Jimmy Carter and President Richard Nixon talk with Vice Premier Deng Xiaoping of China https://www.whitehou[...]
[41] 서적 Nixon: Ruin and recovery, 1973-1990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1991
[42] 뉴스 Berlusconi Goes to China Foreign Policy 2003-09-01
[43] 서적 周恩来秘録
[44] 문서 1969년 4월에 개최한 중국공산당 제9차 전국대회(9전대회)에서, 간신히 국내의 혼란이 수습되는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다.
[45] 서적 니크슨 방중 기밀 회담록
[46] 서적 세계 역사 대계·미국사 2-1877년~1992년-
[47] 문서 이 1967년이라는 해는 베트남 전쟁이 격렬함을 더해가고 있는 동시에 중국에서는 문화대혁명이 심하게 흔들리고 있던 시기이다.
[48] 서적 닉슨과 키신저 중앙공론신사 2013-12-00
[49] 문서 이 시기에 소련은 다른 공산국의 지도자에게 중국의 핵 시설에 대한 선제 공격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할 것인가, 라는 타진을 하고 있었다. 또 이보다 앞선 3월에 충돌 사건이 일어난 직후에 키신저의 사무실에 도브르이닌 소련 대사가 찾아와 상황 설명을 하고 있다. 이것은 당시로서는 전대미문의 이례적인 일이었다.
[50] 문서 이 말은, 후에 닉슨·주은래의 회담에 동석했던 총리 비서인 熊向暉가 쓴 서적의 제목이 되고 있다.
[51] 서적 키신저 회상록 중국(상)
[52] 서적 주은래 비록
[53] 서적 키신저 회상록 중국(상)
[54] 서적 키신저 회상록 중국(상)
[55] 서적 키신저 회상록 중국(상)
[56] 서적 주은래 비록
[57] 서적 키신저 회상록 중국(상)
[58] 서적 주은래 비록
[59] 서적 키신저 회상록 중국(상)
[60] 서적 키신저 회상록 중국(상)
[61] 문서 이 미중 대화의 재개에 대해서는 「키신저 회상록」에서는 2월 20일과 3월 20일이 되어 있다. 게다가 재개해서 2번째인 2월 20일에 중국 측이 「만약 미국이 특사를 파견하고 싶다는 것이라면 접대하고 싶다」라고 말하고 있다고 중국 측 기록에는 있지만, 키신저 회상록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62] 서적 주은래 비록
[63] 서적 닉슨과 키신저
[64] 서적 키신저 회상록 중국(상)
[65] 서적 주은래·키신저 기밀 회담록
[66] 서적 닉슨과 키신저
[67] 문서 이 두 가지 움직임은 모택동에게 좋은 인상을 주고, 그리고 4월의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에서의 미국 선수단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결론을 내리는 요인이 되었다.
[68] 서적 키신저 회상록 중국(상)
[69] 서적 키신저 회상록 중국(상)
[70] 서적 미국 20세기사
[71] 書籍 周恩来秘録 下巻
[72] 書籍 周恩来秘録 下巻
[73] 書籍 キッシンジャー回想録 中国(上)
[74] 書籍 周恩来・キッシンジャー機密会談録
[75] 書籍 戦後アメリカ外交史
[76] 문서
[77] 書籍 ニクソンとキッシンジャー
[78] 書籍 ニクソンとキッシンジャー
[79] 문서
[80] 書籍 キッシンジャー回想録 中国(上)
[81] 書籍 キッシンジャー回想録 中国(上)
[82] 書籍 周恩来・キッシジャー機密会談録
[83] 書籍 キッシンジャー回想録 中国(上)
[84] 書籍 ニクソンとキッシンジャー
[85] 書籍 周恩来・キッシジャー機密会談録
[86] 書籍 周恩来・キッシジャー機密会談録
[87] 書籍 キッシンジャー回想録 中国(上)
[88] 문서
[89] 書籍 キッシンジャー回想録 中国(上)
[90] 書籍 周恩来秘録 下巻
[91] 書籍 キッシンジャー回想録 中国(上)
[92] 書籍 キッシンジャー回想録 中国(上)
[93] 문서
[94] 문서
[95] 書籍 1971年~市場化とネット化の紀元~ NTT出版 2014-01
[96] 書籍 日米関係は何だったのか
[97] 書籍 日米関係は何だったのか
[98] 문서
[99] 문서
[100] 書籍 ニクソンとキッシンジャー
[101] 문서
[102] 문서
[103] 書籍 ニクソン回顧録①栄光の日々 小学館 1978
[104] 문서
[105] 書籍 The Kissinger Transcripts: The Top Secret Talks with Beijing and Moscow The New Press 1999
[106] 서적 ニクソン訪中機密会談録
[107] 서적 ニクソン訪中機密会談録
[108] 서적 ニクソン訪中機密会談録
[109] 서적 アメリカ20世紀史
[110] 서적 アメリカ20世紀史
[111] 문서 就任後意表をついてルーマニアを共産圏諸国では最初に訪問したニクソンであったが、この1年前まで、ニクソンがいつ共産国のソ連を訪問するかということが話題にはなっていた。しかし1年前の時点ではソ連の首脳陣よりも先に中華人民共和国を訪問することは誰も想像出来ないことであった。
[112] 서적 戦後アメリカ外交史
[113] 서적 戦後アメリカ外交史
[114] 웹사이트 Ford Visits China - 1975 Year in Review - Audio - UPI.com https://www.upi.com/[...]
[115] 서적 「悪魔祓(あくまばら)い」の戦後史 進歩的文化人の言論と責任 PHP研究所 2015-02
[116] 웹사이트 Richard Nixon: Foreign Affairs https://millercenter[...]
[117] 웹사이트 China and the United States: Nixon’s Legacy after 40 Years https://www.brooking[...] 2012-02-23
[118] 서적 Nixon Reconsidered BasicBooks 1994
[119] 저널 Labor's Communists Come Under Fire https://books.google[...] Time 1947-03-24
[120] 웹사이트 Negotiating U.S.-Chinese Rapprochement https://nsarchive2.g[...] 2018-07-08
[121] 웹사이트 CHINA POWER Kissinger's Visit, 40 Years On https://thediplomat.[...] 2018-07-08
[122] 웹사이트 Getting to Beijing: Henry Kissinger's Secret 1971 Trip http://china.usc.edu[...]
[123] 웹사이트 The Week that Changed the World https://www.nixonfou[...] 2017-01-18
[124] 웹사이트 Nixon In China Itinerary, Feb. 17 -28, 1972 https://china.usc.ed[...]
[125] 서적 Years of Upheaval
[126] 웹사이트 1972 Election - 1972 Year in Review - Audio - UPI.com https://www.upi.com/[...] 2021-07-26
[127] 웹사이트 Nixon's China's Visit and "Sino-U.S. Joint Communiqué" https://www.fmprc.go[...] 2021-07-26
[128] 웹사이트 Assignment: China – The Week that Changed the World http://china.usc.ed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